시, 24일 시청서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제1차 보상협의회 열어
12명 보상협의회, 보상액 평가·이주대책 등 소유자 의견 듣고 논의
감정평가 후 보상액 산정… 1조2000억원 선 될 수도 있다는 추정도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설 예정인 연서면 와촌리 일대. 축사(왼쪽 건물)와 마을이 보인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설 예정인 연서면 와촌리 일대. 축사(왼쪽 건물)와 마을이 보인다.

세종 스마트국가산업단지 보상금 지급은 오는 7월 이후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24일 보람동 세종시청 5층 집현실에서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제1차 보상협의회를 열고, 원활한 보상 절차 운영을 위한 논의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감정평가 및 보상 규모 산정을 거쳐 오는 7월 이후 보상이 개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 스마트국가산단 조성에 따른 총 보상금액은 1조~1조2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은 지난해 12월 보상계획이 공고된 바 있다.

시에 따르면 세종 스마트국가산단 조성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세종도시교통공사가 85대 15% 비율로 한 시행자로 참여해, 연서면 일원에 275만3000㎡(약 83만 평)에 달하는 계획을 세운 가운데 오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보상협의회는 토지보상법에 따라 보상액 평가, 이주대책 수립 등에 관한 토지소유자들의 의견을 듣고 논의하기 위해 세종시 주관으로 설치하는 협의체이다.

협의회 위원은 위원장인 이승원 경제부시장을 비롯해 토지소유자 대표와 세종시, LH, 세종도시교통공사 관계자 등 12명으로 구성됐다는 것.

24일 회의에서는 보상협의회 운영 방안과 향후 보상 절차, 일정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고 전했다.

세종시는 향후 협의회를 통해 보상액 평가와 이주대책 수립 등에 대한 토지소유자들의 의견을 듣고 사업시행자와 함께 보상시기, 생계 지원대책 등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승원 세종시경제부시장은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은 우리 시 최초의 국가산업단지로서, 행정중심도시 세종시가 자족 경제도시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LH와 세종도시교통공사 관계자들이 협의회에서 논의되는 사항들을 심도 있게 검토해 적절한 보상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살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24일 세종시청에서 열린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1차 보상협의회 후 위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 다섯 번째가 이승원 세종시경제부시장 (사진=세종시) 
세종시 연서면 와촌1리 마을회관. 세종 스마트국가산단 개발에 대한 주민대책위원회 사무실 및 보상상담소임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자료사진>
세종시 연서면 와촌1리 마을회관. 세종 스마트국가산단 개발에 대한 주민대책위원회 사무실 및 보상상담소임을 알리는 현수막이 걸려 있다. <자료사진>

 

 

저작권자 © 세종의소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