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도시광역권 선진 광역대중교통 미래는?
행복도시광역권 선진 광역대중교통 미래는?
  • 곽우석 기자
  • 승인 2017.09.04 07: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복청, 1일 '행복도시 광역교통행정시스템 구축방안 전문가 세미나' 개최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광역교통행정 체계(이하 시스템) 구축과 관련, 해외 선진사례를 고찰하고 미래 추진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과 한국교통연구원(원장 이창운)은 지난 1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서울 중구 소재) 중회의실에서 ‘행복도시 광역교통행정시스템 구축방안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국토교통부․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충청북도․천안시․청주시․공주시가 후원했으며, 관련 기관 및 학생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최형욱 행복청 교통계획과장은 ‘미국 워싱턴DC 광역교통행정시스템 제도 현황’을 주제로 발표했다.

미국 수도권 현지에서 직접 조사한 광역교통행정시스템의 내용을 공유하고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미국은 인구 5만 명 이상의 모든 도시권에 행정구역과 별개의 광역교통행정조직(MPO, Metropolitan Planning Organization)을 설치하도록 연방법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연방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협의체, 이를 뒷받침하는 행정지원조직, 그리고 공영 대중교통운영공사가 서로 협력하면서 효율적으로 광역지역 단위의 대중교통을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그 필요성을 인식하여 신정부에서 ‘대도시권 광역교통청’ 신설을 추진 중이며, 행복도시권에서는 이미 초기단계의 행정시스템인 광역교통협의회, 광역권BRT개선기획단을 운영 중이므로 이를 발전시킨다면 새로운 광역교통행정시스템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의 모창환 연구위원은 ‘행복도시권 광역교통행정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행복도시권의 실질적인 광역대중교통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노선에 대한 인․허가권 부여, 요금제, 공영 운영 전담조직 신설 등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민․관․학의 교통 전문가들이 모여 행복도시권 교통행정체계 구축 추진방향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았다.

토론자로는 중앙대학교 이용재 교수를 좌장으로, 국토교통부 도시광역교통과장, 아주대학교 유정훈 교수, 한국행정연구원 이광희 평가연구부장, 충북연구원 오상진 공간창조연구부장, 서울신문 류찬희 선임기자 등이 참여했다.

이들 모두 행복도시는 중앙정부가 주도하여 새롭게 만들어가는 도시인만큼 새로운 광역교통행정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여건이 우수하며, 이미 광역교통협의회와 광역권BRT개선기획단을 운영하고 있는 경험을 살려 우리나라 광역교통행정체계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원재 행복청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이제는 국가 간 경쟁이 아닌 도시 간 경쟁의 시대”라면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광역도시권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그 근간이 되는 광역교통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면서 광역교통행정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행복도시권은 행복청과 대전․세종․충남․충북․천안․청주․공주 등 인근 지방자치단체가 긴밀한 협조를 통해 광역교통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으며, 향후 법․제도 정비 등을 통해 우리나라를 선도하는 광역교통행정체계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행복청은 2007년 7월 행복도시 건설에 착공한 이후 도시를 찾는 시민 등에게 최적의 교통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도시․광역교통 체계를 구축해 왔다.

현재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오송~반석, 오송~대전역 등 2개의 비알티(BRT, 간선급행버스체계) 노선을 운영할 수 있도록 했으며, 더 나아가 각종 기반(인프라) 확충, 운영방식, 요금체계, 행정시스템 등을 선진적으로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각종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