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 역에는 첨성대가 많다...무슨 말?
호남선 역에는 첨성대가 많다...무슨 말?
  • 전재홍
  • 승인 2024.03.11 09: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재홍칼럼] 경주 첨성대 벤치마킹한 철도역 급수탑
호남선 신흥리, 학다리, 연산역급수탑...첨성대가 원형
일제기 사진엽서에 실린 첨성대 사진. 조선인과 초가집, 멋들어진 소나무가 분위기를 더 한다, 당시의 화강석 축조기술이 집약되어 후대에 호남선 급수탑의 원형이 된다.

호남선 철도급수탑으로 축조되어 현존하는 것은 3개로 논산 연산역급수탑, 장성 신흥리역급수탑, 함평 학다리역급수탑이다. 세 개의 급수탑 모두 상부로 갈수록 면적이 줄어드는 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석조 원형탑은 정교한 화강석 축조기술이 집약되는데 신라시대에 만든 경주 첨성대를 보는 듯하다.

호남선에 남은 3개의 철도역급수탑은 모두 같은 구조와 형태를 보인다. 왼쪽부터 연산역급수탑, 신흥리역급수탑, 학다리역급수탑. ⓒ 2020년 필자 촬영

그러나 기능으로 인해 첨성대와 급수탑의 상부 구조는 약간 다르다. 급수탑은 상부에 수 십t의 물탱크를 올려야 하는 구조적인 하중 문제로 서서히 수렴되는 직선 구조를 보이고, 첨성대는 상부 구조물이 없어 멋을 한껏 내어 오므라드는 곡선을 보인다.

신흥리역급수탑을 포함한 호남선 급수탑들은 완만히 수렴되며 직선으로 쭉 뻗어 올라 화강암의 물성과 함께 단단하고 강인한 힘을 표출한다. ⓒ 2020년 필자 촬영

전남 장성 신흥리역급수탑은 호남선이 처음 개통한 시점인 1914년 1월 1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유서 깊은 역에 세워졌다. 북일면사무소가 있는 면 중심지의 마을이 신흥리인지라, 역 이름도 그렇게 부여되었다.

새로 이전한 신흥리역은 거리가 멀고 논밭과 허허벌판이어서 주민들의 외면을 받다가 점차 폐역의 수순을 밟는다. ⓒ 2020년 필자 촬영
내려다 본 신흥리역급수탑. 수십t에 달하는 물탱크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두 겹의 화강석 구조로 쌓아 올렸다. ⓒ 2020년 필자 촬영

차량 교통이 불편했던 1980년대 초반까지, 주민들이 외지로 나갈 땐 거의 이 역을 이용했었다. 그러나 선로가 단선이고, 익산역 이남의 뜸한 배차 간격으로 이용객이 급속하게 감소되었다.

설상가상으로 1980년 초 호남선 복선화로 인한 선형 개선을 위해, 역이 1.4km 떨어진 개천 너머로 이전하게 되었고 역 이름은 신흥리역, 역사(驛舍) 입지는 오산리가 되는 상황이 되어 버렸다.

1985년 준공된 오산리에 소재한 신흥리역은 폐역으로 인해 20년을 갓 넘기고 철거되는 운명을 맞는다. 사진/코레일 제공. <br>
1985년 준공된 오산리에 소재한 신흥리역은 폐역으로 인해 20년을 갓 넘기고 철거되는 운명을 맞는다. 사진/코레일 제공.

호남선의 복선화로 속도가 빨라지고 수송량은 늘었지만 정작 열차 편수 부족 문제는 해결되지 못했다. 거기다 이전한 곳은 면소재지에서 멀고 논밭과 야산뿐인 허허벌판이라 승객이 더욱 감소하면서 1995년 4월, 무 배차 간이역으로 격하되는 지경이 되었다.

결국 통일호가 폐지된 직후인 2004년 7월부터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 2006년 6월 23일에 폐역이 되며 100년 가까이 된 신흥리역은 사라지게 되었다.

학교면소재지에 있었던 학교역은 선로개량으로 멸실되고 급수탑만이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 ⓒ 2020년 필자 촬영

일제강점기, 함평을 지나는 호남선은 선로 설계상 도심을 지나지 않고 남쪽으로 6km나 떨어진 학교면소재지에 학교역(鶴橋驛)이 설치되었다. 1913년부터 운영되었고 2000년 초 호남선복선화 사업으로 인해 선형이 개량되며 학교역에서 약 1km 떨어진 곳에 새로운 역사가 확정되었다.

철거 전의 학교역과 비나리는 호남선 LP(오른쪽). 작곡가 박춘석, 가수 이미자와 백설희 사진이 실려 있다.

그로인해 폐역이 되었고 역명 또한 함평역으로 개칭되는 수모를 당한다. 지금은 철도시설 중 유일하게 화강암 급수탑만이 홀로 면 소재지를 지켜, 근대기 첨단 육상교통인 철도노선과 학교역이 있었다고 증명할 뿐이다.

함평 학다리역급수탑. ⓒ 2020년 필자 촬영

일제강점기 도로가 미비하고 차량이 귀하던 시절, 함평군민들은 철도를 이용할 수밖에 없어 군소재지에서 6km나 외떨어진 학교역까지 대부분 걸어서 오갔다.

함평 학다리역급수탑. ⓒ 2020년 필자 촬영

이에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한 함평궤도주식회사가 조선총독부로부터 호남선 학교역에서 함평 간 6.1㎞의 사설철도를 부설하고, 20년간 영업을 하는 조건으로 허가를 받았다. 공사 시작 2년만인 1927년 1월 개통시켜 영업을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협궤 화물칸에 탄 사람들.

우리나라 철도선로는 1,435㎜의 표준궤간(레일의 너비)과 762㎜의 협궤궤간이 있었고, 함평궤도는 그 중간인 1067㎜였다. 함평궤도의 특이한 점은 당시에 흔한 증기기관차나 전기동차가 아닌, 등유연료를 사용하는 한국최초의 궤도 노선이었다.

내부에서 본 학다리역급수탑. 출입구의 화강석을 매끈하게 가공되었으나 내부석은 거친 자연석 그대로이다. 설치 당시의 물탱크는 멸실되어 하늘이 훤히 보인다. ⓒ 2020년 필자 촬영

영업 당시에는 경유동력차 3량과 객차 3량, 5톤 화차 4량을 보유해 일일 9번을 왕복했다고 한다. 그러나 수 십 년 사용한 동차가 노후화되고 이용객이 급감하자 1960년 사업을 종료해 철도사에서 유일했던 경유동차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전재홍, 상명대대학원 사진학과 졸업(석사), 한남대 대학원 건축공학과 졸업(박사), 조선일보 기자, 대전일보 사진부장, 중부대 사진영상과, 한남대 예술문화학과 겸임교수, 2024 대전국제사진축제 총감독, 이메일 : docuin@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