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 산단, 오염방지 근본대책 마련해야
전의 산단, 오염방지 근본대책 마련해야
  • 김중규 기자
  • 승인 2013.07.21 1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저한 관리감독, 업체의 인식, 시설 용량 확보 등 대책 절실

   전의 산업단지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업체의 환경 보호 중요성 인식과 철저한 감시감독, 그리고 시설 용량 증설 등이 요구되고 있다.<사진은 전의산단 조감도>
전의 산업 단지 폐수 유출로 인한 주변 지역 오염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조속한 피해 보상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전의 제2 산업단지 내 고농도 폐수 유출업체가 입주하면서 이들 업체에 대한 특별 관리와 함께 무단으로 폐수 방류 시 가중처벌 등 철저한 환경오염 방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15일 세종시 전의면 관정리 일대 폐수 방류로 주변 논 5만㎡의 벼가 말라죽는 피해를 입었다. 이에 세종시에서 오염원을 추적, 필름제조사인 S사와 삼성전자 하청업체인 D사에서 고농도 오염물질을 배출해 폐수종말처리시설 용량 초과 물질 유입으로 농작물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의 산업단지에서 이 같은 폐수 방류 사건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입주업체의 환경오염 방지 노력과 세종시의 고농도 폐수 발생업체에 대한 철저한 감시·감독, 그리고 폐수 처리시설의 확충 등이 요구되고 있다.

전의 산업단지는 지난 2002년 완공된 1산업단지에 유리, 식품, 화장품, 기계 등 10개사가 입주, 가동 중이며 2013년 제2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고농도 폐수 발생업체 4개사를 비롯한 25개 업체가 입주했다.

문제는 제 2산업단지에 들어선 고농도 폐수 발생업체로 고의, 또는 실수로 폐수가 처리장으로 들어오게 되면 처리가 불가능한데다가 이번 사건과 같은 농작물 피해가 재발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고농도 폐수는 일반 처리시설에서 다룰 수 없어 별도 비용을 들어 전문업체에서 수거 후 처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 하루 1,600톤 처리 용량인 폐수처리시설의 확장이 절실하다는 게 환경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현재 처리 용량 1,600톤은 하루 평균 유입량 800여톤에 비해 다소간 여유가 있으나 제2산단 조성으로 시설 확장이 시급이 요구되고 있다. 세종시에서 우선 1일 600톤의 처리 능력을 갖춘 시설 확장에 들어갔으나 입주업체의 시설 증설에 따른 여유분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고농도 폐수 업체로 지정은 되지 않았지만 사업장의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각종 화학 약품도 별도로 수거해 처리를 해야 전의 지역 벼 피해와 같은 오염사고를 막을 수 있다. 실험실의 고농도 화학 물질이 처리장으로 유입 시 사실상 처리는 불가능하며 시간이 지나 뒤섞이면서 농도가 묽어지도록 기다리는 방법 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전의산업단지 관리사무소의 실질적인 역할 강화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산업단지 관리사무소의 경우 협회비 납부를 통해 운영이 이뤄지면서 환경오염 등에 대한 철저한 감시감독이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민간 환경 보호단체와 세종시 등이 공동으로 정기적인 오염물질 배출 실태 조사를 벌여 관리사무소에서 할 수 없는 오염물질 배출 실태를 수시로 파악하고 경각심을 불러일으켜야 환경 도시를 내세운 세종시에 오염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인원 자연환경국민운동본부 세종시지회장은 “아무리 제도가 잘되어 있어도 해당 업체에서 이를 지키려는 생각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라며 “피해보상에 앞 서 민과 관이 합동으로 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면서 업체에서는 환경을 중요성을 인식해야 이 같은 사고가 재발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종시는 전의 산단 내 불소 등을 배출기준 허용치를 초과해 방류한 10개 업체를 적발, 환경관련법 위반혐의로 고발하는 등 강력하게 대처할 계획이다.

세종시는 전의 지역 오염사건이 발생한 직후 자연환경국민운동 세종시 북부지회와 합동으로 입주 기업체 37개사를 대상으로 점검한 결과 10개 업체를 적발했다. 이들 중 S,D 사 등이 폐수 종말처리시설 기준을 초과한 고농도 폐수를 방류, 벼가 말라죽는 피해를 발생시킨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지난 18일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 보상 방안과 재발 방지대책 마련을 위한 회의를 열고 피해 수습에 전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