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정책아카데미 '스마트시티' 두 번째 강의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시티 추진정책 비교’는 정충식 경성대 교수가 강의했다.
23일 오후 4시부터 세종시청 여민관에서 진행된 이 강의에서 전자정부 전문가로 알려진 정충식 교수는 세종시에서 추진되는 스마트시티를 해외에 수출하기 위한 조건으로 중국과의 협력을 꼽았다.
중국의 스마트시티 추진정책은 공산당에 의해 한국보다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베이징 시의 인구분산을 위해 건설된 슝안신구의 스마트시티 추진은 상당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그는 “스마트시티는 완성된 형태로 눈으로 볼 수 있는 건설과 시스템뿐만 아니라 스마트시티에 도입된 기술이 시민참여로 완성되어 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한 뒤 “기술은 수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정충식 교수의 이날 강의에 따르면 스마트시티는 기존의 유비쿼터스시티와 달리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실생활에서 실증하는 리빙랩 등의 방법으로 서비스를 개발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플랫폼으로서의 구실을 한다.
2019년 6월 스마트시티 5개년 중장기 로드맵이 발표됐는데, 이는 ▲도시 성장단계별 맞춤형 스마트시티 조성 ▲데이터, AI 기반의 도시운영을 위한 기반 강화 ▲과감한 규제개선을 통해 기업과 시민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구축 ▲세계 각국과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등이 주요 내용이다.
또 세종시는 스마트시티 시범지구로 지정돼 관련규제를 일괄 해소하는 ‘스마트시티형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해, 규제 없이 신기술을 실험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로서 기능하고 있다.
국가시범도시 7대 혁신 요소인 ▲모빌리티 ▲헬스케어 ▲교육 ▲에너지와 환경 ▲거버넌스 ▲문화와 쇼핑 ▲일자리 등에서 시민이 편리하게 이용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혁신생태계를 이루는 것이다.
정 교수는 중국의 스마트시티 추진정책을 설명하며 “인터넷 쇼핑기업인 알리바바가 있는 중국 도시 항저우는 시티브레인을 통해 교통서비스의 혁신을 만들어가고, 베이징 인구분산을 위한 슝안신구는 4단계 자율주행차가 운행되는 등 스마트시티의 발전이 상당부분 이루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세종시와 슝안신구는 모두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친환경 생태도시를 지향하는 것과 수도권 인구분산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유사점이 있다고 설명하며, 두 도시가 서로 협력하면 더 효과적으로 새로운 스마트시티의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사업 등 화교 문화권인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에 스마트시티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끝으로 “첨단 기술로 만들어진 스마트시티가 전자감시 사회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기술과 서비스를 이용할지 말지의 선택권을 개인에게 주어야 한다”며 “정부는 프라이버시가 너무 많이 포함된 주민등록번호보다는 지문이나 다른 식별수단을 사용해야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오는 3월 2일에는 이재용 국토연구원 스마트공간연구센터장이 ‘스마트시티 필요성과 구성요소의 이해’라는 타이틀로 세종시청 4층 여민관에서 오후 4시부터 정책아카데미 222차 강의를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