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의사당, 5년 후 준공... ‘지방’도 ‘중심’ 증명하는 친환경 랜드마크 돼야”
“세종의사당, 5년 후 준공... ‘지방’도 ‘중심’ 증명하는 친환경 랜드마크 돼야”
  • 류용규 기자
  • 승인 2020.12.10 15:07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춘희 시장, 10일 토크콘서트 “국민 열망 반영되도록 내년 2월 공청회 준비 매진”
강현수 국토연구원장·김상봉 고려대교수 참가... “21C 시대정신 반영, 스마트 건물로”
10일 열린 세종시 토크콘서트에서 이춘희 세종시장(왼쪽 세 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 첫 번째는 김상봉 고려대 교수, 맨 오른쪽은 강현수 국토연구원 원장. 단상 뒤 스크린에는 온라인으로 토크콘서트에 참여한 세종시 출입기자들과 시민들의 영상이 올라와 있다.

매주 목요일마다 열리는 세종시 정례브리핑은 10일, 두 달 반만에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됐다. 

온라인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날 토크콘서트의 주제는 지난 2일 국회 본회의에서 127억원의 설계비가 통과된 국회 세종의사당.

국회 세종의사당 설계비 반영의 의미를 분석해 보고 앞으로의 추진 방향과 변수를 짚어보는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강진원 TJB대전방송 기자가 사회를 본 가운데 이춘희 세종시장, 강현수 국토연구원 원장, 김상봉 고려대학교 교수가 활발하게 의견을 나눴다. 세종시 출입기자들과 시민들이 비대면 화상 프로그램을 이용해 지켜봤다.

이춘희 시장은 세종의사당이 준공돼 문을 열기까지 걸리는 기간을 5년으로 예상했다.

이 시장은 “내년부터 설계공모가 시작되면 설계에 2년, 짓는데 3년쯤 걸린다”며 “완전한 건설에 5년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회가 지어지면, 세종시에서 가장 큰, 랜드마크 같은 건물이 될 것”이라며 “민주주의의 완성을 담아내면서, 미국 워싱턴에 있는 국회의사당 같이 세종의사당도 이를 상징하는 건물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21세기에 만들어지는 국회인 만큼 스마트시티에, 제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스마트 시티’ 이념을 담아 지어야 한다”며 “설계공모 과정에서 국민 모두의 생각이 담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봉 교수는 “행정부와 입법부가 분리돼 있으면 물리적 이격이 생겨 정책설계 과정에서 비효율성이 크다”며 “국가 정책의 시작과 끝은 행정부에 있는 만큼, 의사당 건립이 이런 비효율을 해소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여의도 의사당은 서울만 바라보던 시대의, 권위주의적 시대의 건축물”이라며 “세종의사당은 경원시해야 했던 건물이 아니라, 지방도 중심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건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현수 원장은 “세종의사당이 민주주의의 완성을 상징해야 한다는 말은 맞다. 서울 여의도 의사당 건물은 권위주의적 건물이다. 내부 구조도 그렇다. 국회의원만 편하게 이용하게 돼 있다”고 강조한 뒤 “외관은 물론 내부 구조도 민주주의적으로 설계돼야 한다. 또 친환경 건축이 대세이므로 에코(Echo) 건물이 돼야 한다. 온실가스를 줄이거나 흡수하는 스마트한 건물이 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춘희 시장은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에 따라 세종시의 도시·교통계획의 전면 수정 불가피성을 언급했다.

이 시장은 “처음 세종시 건설 당시 세종의사당은 계획에 없던 것이므로, 국회가 옮겨 오면 국회뿐만 아니라 함께 오는 시설과 인력 등으로 인해 도시계획을 다시 짜야 한다”고 설명한 뒤 “많은 유보지들이 있으므로 직주근접 원칙에 따라 여기에 국회의원·보좌관 등이 거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국회가 내년도 예산에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 예산 127억 원을 반영하면서 제시한 부대의견은 강제사항이 아니라 국회의 보충적 건의·권고사항”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다만, 국가적 중대 사안인 만큼 여야가 합의해 국회법을 개정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세 사람은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에 따른 기대효과로 정치·행정수도 세종의 기반을 확보하고, 국회 관련 산업을 비롯해 수도권 기관·기업들의 지방이전 가속화를 자극할 것으로 내다봤다.

독일 베를린에 있는 연방의회 의사당 옥상의 투명한 돔을 돌아보는 시민들
독일 베를린에 있는 연방의회 의사당 옥상의 투명한 돔 내부를 돌아보는 시민들

비대면으로 행사에 참여한 한 시민은 세종의사당 건립에 따른 일자리 창출 등 지역 경제 효과에 대해 묻기도 했다.

이에 이 시장은 “국회가 세종으로 이전하게 되면 정부·국회와 함께 일하는 산하단체 등도 자릴 옮기게 돼 일자리를 창출하게 된다”며 “이와 연계한 국제행사 등 개최로 마이스(MICE) 산업의 발전도 기대된다”고 답변했다.

이 시장은 앞으로 여야 합의에 의한 국회법 개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내년 2월까지로 예정된 공청회에 대비해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공청회를 거쳐 국회법이 개정되면 설계비 147억 원을 활용한 사전기획용역을 추진, 총사업비와 입지, 규모 등이 담긴 구체적인 건립 추진방식과 절차를 확정하게 된다.

이 시장은 “여야가 건립비 대폭 증액에 합의한 만큼 후속절차의 신속한 추진이 기대된다”며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국민의 열망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내년 2월 공청회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민경 2020-12-18 11:59:58
지금껏 모든것이 국회도 의회도 국민세금으로 호위호식하고 있는거죠.
국민들도 주권 행사하고 감시기능을 강화하고
국민 중심, 서비스 중심 되주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