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대도, 일제 종교 탄압 정책 최대 희생자였다"
"금강대도, 일제 종교 탄압 정책 최대 희생자였다"
  • 김중규 기자
  • 승인 2019.12.23 09:0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천리 본원에서 '일제의 황민화 정책과 금강대도의 저항' 토론회
금강대도 정신, 리더십 활용과 문화콘텐츠 개발로 학습효과 거둬야
일제강점기 민족종교 말살정책 속에 금강대도의 저항 과정을 집중조명하는 토론회가 22일 열렸다.

일제 강점기 민족종교 말살정책에 저항해온 금강대도를 중심으로 한국종교의 대응방식을 조명하는 세미나가 22일 오후 1시부터 세종시 금남면 금천리 금강대도 선화원 대강당에서 열렸다.

‘일제의 황민화 정책과 금강대도의 저항’이라는 제목으로 열린 토론회에서는 일제의 내선일체를 목표로 지속적으로 탄압을 가해온 종교정책에 대한 민족 종교의 대응 과정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특히, 일제 식민지 지배의 일환으로 민족종교에 가해진 말살정책 속에 금강대도의 수난과 저항을 부각시켜 일제의 황민화 기도를 무산시키는 단초가 됐다는 역사적 사실을 새롭게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재헌 금강대도종리학회장이 ‘일제의 종교정책과 한국종교의 대응’, 김원묵 금강대도 종무원장의 ‘신사사변의 원인과 결과’, ‘이미경 금강대도 교무원장이 ’신사사변의 의의와 계승방안‘을 각각 발제했다.

이재헌 종리학회장은 “종교에 대한 통제기반을 완성하는 무단통치기에는 민족 종교를 유사종교단체로 규정하고 종교로 인정하지 않았다” 며 “3.1운동 이후 문화정치를 펴면서 회유와 분열정책을 교묘히 활용하는 등을 통해 민족종교를 고립, 또는 말살시키려고 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침략전쟁기에는 종교를 대륙침략의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종교의 자율성을 인정하지 않아 곳곳에서 탄압에 대한 저항운동이 일어났다며 1934년 금강대도 대강연회 사건과 1941년 신사사변 등을 예로 들었다. 두 사건은 일제가 힘으로 민족종교인 금강대도 지휘부를 무참하게 괴멸시키려는 의도에 저항한 사건이었다.

김원묵 종무원장은 신사사변의 원인을 ▲금강대도의 독립군 자금지원설 ▲일본 불교와의 통합에 반대 ▲1934년 충남도청 앞 시국강연회 ▲단군 참배 ▲신사참배 거부 등으로 분석하며 금강대도의 최대 수난인 신사사변의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금강대도를 괴멸시키려는 일제의 의도가 깔린 탄압 중의 하나인 '신사사변'에 대해 집중 토론이 이어졌다. 사진 왼쪽부터 이재헌, 김원묵, 이미경

특히, 뜯겨나간 금강대도 법당 등 한옥 건축물이 공주 갑부 김갑순이 유성 호텔 건립에 사용됐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오늘 날 이런 건축물이 현재의 자리에 존재하고 있다면 훌륭한 근대문화유산이 됐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미경 금강대도 교무원장은 “신사사변은 민족주의적 내셔널리즘이 들어있어 진정한 지도자의 리더 십과 옳고 의로운 일에 용기와 결단의 정신을 심어주고 있다” 며 “비폭력 항일운동을 벌인 종교 지도자들에 대한 역사인물로 재조명하고 역사 문화 콘텐츠를 개발, 항일운동의 정신이 계승 발전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 주제별 토론에 이어 종합토론에는 송인창 대전대 명예교수와 정세근 충북대교수, 유제춘 금강대도 도사편찬위원회장 등이 참여했으며 금강대도의 해방이 온다는 ‘봄노래’가 현장에서 시연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유홍란 2019-12-24 17:57:48
행방이아니라 해방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