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5-1생활권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선정
세종시 5-1생활권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선정
  • 곽우석 기자
  • 승인 2018.01.29 1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합강리 274만㎡, 에너지·교통 기본으로 다양한 생활체감형 기술 구현 전망, 2021년 입주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5-1 생활권이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됐다. <사진은 5-1 생활권 국가 시범도시 콘텐츠(예시), 국토부 제공>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5-1 생활권(합강리)이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됐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9일 오전 광화문KT 12층 회의실에서 장병규 위원장 주재로 제4차 회의를 개최하고, 세종(274만㎡, 83만평)과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219만㎡, 66만평) 등 두 곳을 시범사업지로 확정 발표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세종시)와 수자원공사(부산) 등 공공기관 주도로 향후 5년간 조성되는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에는 도시설계 단계부터 시공까지 스마트시티 주요 기술이 대거 적용된다.

세종은 에너지‧교통, 부산은 워터시티 컨셉‧국제물류 연계성을 기본으로 다양한 생활체감형 기술이 함께 구현되며, 세부 콘텐츠는 구상‧설계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발굴‧접목해 나갈 예정이다.

5년내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조성될 수 있도록, 규제 샌드박스 등 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한 민간투자 활성화와 정부 R&D 및 정책예산의 집약, 스마트시티 인프라 조성 검토, 시민참여 활성화 등 전방위 지원이 뒤따를 전망이다.

세종의 경우 기존 '행복도시 스마트시티 추진계획(2017∼2030)'에 따라 로드맵이 진행중인 가운에 이번 국가 시범도시 선정으로 사업 추진에 날개를 달게 됐다.

   스마트시티 개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5-1생활권은 KTX 오송역(14km)을 비롯해 경부‧호남 고속철도, 경부‧중부‧천안논산‧서울~세종(2025년 준공) 고속도로, 청주공항(37km) 등과 인접해 있다.

주변에는 정부세종청사, 국책연구단지, 대학(KAIST 등), 대덕연구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와 첨단산업단지(4‧6 생활권) 등 입지한다. 주거‧행정‧연구‧산업 등 다양한 기능이 융‧복합된 자족도시조성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이곳을 ▲에너지 ▲교통 ▲생활‧안전 등을 기본 컨셉으로 스마트시티로 조성할 방침이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 AMI 및 전력중개판매 서비스 도입, 제로에너지단지 조성 등으로 주거비용 절감 및 지속가능한 도시를 표방하고 있다.

교통 부문에서는 자율주행 정밀지도,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C-ITS 등 스마트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 특화도시 조성(대중교통, 커넥티드카 등) 등이 계획됐다. 생활‧안전 부문에서는 스마트팜, 미세먼지모니터링, 재난대응 AI 시스템 등이 도입된다.

정부는 이 같은 개발계획에 기초해 주요 컨셉을 대폭 보완, 상반기 중 기본구상(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2019년 상반기까지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조성공사에 착수해 2021년 12월이면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정부는 백지상태에서 새롭게 조성하는 국가 시범도시가 ▲신기술의 테스트베드 ▲도시 문제해결‧삶의 질 제고 ▲혁신 산업생태계 조성 등 세 가지 방향을 담을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5-1생활권 제로에너지타운 개념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제공>

특히 국가 시범도시를 플랫폼으로 자율주행차, 스마트에너지, AI 등 4차 산업혁명의 다양한 미래기술이 집적‧구현되도록 하고, 데이터 기반 스마트 도시운영으로 도시문제 해결과 신산업 창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그간의 기술 중심의 단편적 접근, 공공주도의 스마트시티(U-City) 정책에서 벗어나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민간기업‧시민 등 다양한 수요자가 참여하는 사람 중심의 열린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스마트시티 7대 혁신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시성장 단계별 차별화된 접근, 도시가치를 높이는 맞춤형 기술 접목, 민간기업‧시민‧정부 주체별 역할 재정립이라는 '3대 전략'도 내놨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은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모든 기술·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의미가 있다"며 "스마트시티가 지속가능한 플랫폼으로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시민·민간의 참여를 통해 도시·사회 문제 해결을 논의해 나가는 등 개방적 확장성을 가지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