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비기자 무더기 입건, 무리한 수사였을까
사이비기자 무더기 입건, 무리한 수사였을까
  • 곽우석 기자
  • 승인 2017.06.19 20:5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끊이지 않는 언론 비리에 경종 울려, 일부 기자 무혐의 처분에 비판 여론도
   지난해 세종경찰은 폐기물 불법매립 사실을 무마하는 대가로 골재업체로부터 돈을 뜯어낸 충청권 기자들을 무더기로 검거했다.<사진은 지난 해 8월 수사결과를 발표하는 세종경찰>

세종경찰이 사이비 기자 척결을 위해 칼을 빼든지 1년여. 당시 입건된 기자 중 일부가 무혐의 처분을 받으면서 무리한 수사였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비판 여론에도 불구하고 경찰의 수사가 끊이지 않는 세종지역 언론계 비리에 경종을 울렸다는 점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는 게 지역사회의 중론이다.

지난해 세종경찰은 폐기물 불법매립 사실을 무마하는 대가로 골재업체로부터 돈을 뜯어낸 충청권 기자들을 무더기로 검거했다. 2명은 구속, 16명은 불구속되는 등 입건된 기자만 해도 모두 18명에 달했다.

경찰이 일부 기자들의 부도덕한 행태를 근절하겠다고 공언한 것과는 달리, 입건된 기자들 중 A기자는 검찰로부터 최종 무혐의 처분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곧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것으로 당시 경찰이 제시한 증거목록은 업자들로부터 압수했던 금품액수가 적힌 명함과 정황 증거가 전부였다. 무리한 수사 아니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당시 A기자는 “불법행위를 눈감아 주는 대가로 금품을 갈취한 적이 없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피의사실 공표죄 위반 혐의로 경찰 관계자를 고소하기도 했다.

A씨는 “경찰은 직무상 취득한 피의사실을 공표해서는 안 된다”며 “그럼에도 세종 경찰은 공갈 혐의를 받고 있는 신문사와 기자 명단을 이니셜로 배포해 기자가 누구인지 유추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경찰은 이 같은 사건에 대해 처음으로 브리핑을 가질 정도로 언론계 비위 척결에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를 지켜보는 시민들 역시 경찰 수사를 지켜보면서 그간 만연했던 각종 비리를 끊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보이기도 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A씨의 고소를 무마하기 위해 경찰이 A씨와 모종의 거래를 했을 것이란 의혹도 나오는 등 온갖 '설'이 난무하고 있다.

특히 당시 수사를 지휘했던 수사과장이 올 초 일선 파출소로 전보되면서 이번 사건으로 인한 문책성 인사 아니냐는 의혹까지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루머는 모두 말이 안 되는 이야기라는 게 경찰의 설명. 경찰 관계자는 "사건이 이미 검찰로 송치된 상태여서 피의자와 거래를 했다는 의혹은 터무니없는 낭설"이라며 "수사과장의 전보 역시 정기 인사였다"고 일축했다.

실제로 경찰은 A씨의 고소가 있은 후 비위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 조사를 추가로 벌일 정도로 의욕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과적으로 무리한 수사였다는 비판이 있긴 하지만, 당시 경찰의 수사는 세종시 출범 전후로 끊이지 않는 언론계 비위를 근절하고, 언론의 공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환점을 마련했다는 게 지역사회의 중론이다.

   지난해 세종경찰은 폐기물 불법매립 사실을 무마하는 대가로 골재업체로부터 돈을 뜯어낸 충청권 기자들을 무더기로 검거했다.

경찰은 신도시 건설지역에 불법 매립한 폐기물 기사를 삭제해주는 조건으로 수백만원의 금품을 갈취한 기자는 물론, 14차례에 걸쳐 같은 수법으로 1,100만원을 뜯어간 또 다른 기자의 혐의를 밝혀내 구속했다.

입수한 정보를 가지고 업체에 수시로 찾아가 세륜장 하천수 무단 방류, 비산먼지, 불법 건축물 등을 빌미로 뒷돈을 챙기거나 광고 강요 및 간행물 강매, 협찬비 등의 명목으로 모두 6천만원에 달하는 금품을 수수한 혐의를 받은 기자들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 수사 후 세종시 주요 공공기관들은 '사이비 기자'들의 퇴출을 선언하는 순기능을 가져오기도 했다.

세종시와 시교육청, 세종경찰서, LH 세종특별본부 등 5개 공공기관은 문제가 있는 기자와 소속 언론사에 대해 일체의 보도자료 제공과 광고협찬 등의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공갈·협박·명예훼손’등을 일삼는 언론들이 발붙일 곳 없게 만들겠다는 취지다.

지역 언론계에서도 자성과 자정의 움직임이 잇달았다. 실질적 행정수도인 세종시 위상에 부합하기 위한 언론의 공공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뒷받침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 2017-06-20 10:56:25
세종시 언론이 바로 서기를 기대합니다.
사이비 기자 없는 세종시
세계적인 명품도시 세종시
행정수도로 발전할 세종시를 만들려면 언론인이 바로 서야합니다.
사이비 기자 없는 세종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