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중심 광역BRT, 2020년까지 자율주행
세종시 중심 광역BRT, 2020년까지 자율주행
  • 곽우석 기자
  • 승인 2017.04.19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복청, 행복도시 2030 광역대중교통 추진전략 수립...40분대 광역생활권 연결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중심으로 한 광역BRT 전 구간에 2020년까지 자율주행이 도입된다. <사진은 세종시가 시범 운영하고 있는 바이모달트램>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를 중심으로 한 광역BRT 전 구간에 2020년까지 자율주행이 도입된다. 또 행복도시 중심 반경 40km 광역도시권은 2030년까지 40분대 광역생활권으로 연결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광역 BRT 노선망과 환승체계 등 인프라가 구축되며 BRT 차량, 정류장 등 운영시스템이 고급화된다. 통합 환승요금체계도 마련되고, 광역교통 시스템도 효율화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행복도시 2030 광역대중교통 추진전략'을 수립했다고 19일 밝혔다.

행복도시 광역권을 하나의 공동 생활권으로 묶고, 2030년까지 세종시 중심 충청권을 400만 명 이상의 인구 및 경제 규모의 공동 생활권, 이른바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 거대도시)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10대 거점 광역대중교통망(BRT) 구축 계획도 <행복청 제공>

핵심은 10대 거점 광역대중교통망(BRT) 구축이다.

행복도시를 중심으로 20km 반경 내외에 위치한 ▲조치원역 ▲오송역 ▲청주터미널 ▲공주터미널 ▲대전 도시철도 반석역 ▲과학벨트 신동․둔곡지구 등 6개 주요 거점까지 20분 내에 연결하고, 6대 거점에서 각 도시 내로 대중교통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선 단축, 정류장 통합 등 환승 시설도 개선한다.

아울러 40km 반경 내외에 위치한 ▲KTX대전역 ▲KTX공주역 ▲KTX천안아산역 ▲청주국제공항을 4대 광역교통 거점으로 하고 광역 BRT로 40분대에 연결시킬 계획이다.

오송역과 반석역, 과학벨트 거점지구에는 주요환승시설을 신설하고 시설을 개선할 방침이다.

   '행복도시 2030 광역대중교통 추진전략' 중 자율주행 차량 도입 예시도 <행복청 제공>

광역BRT를 세계적 수준으로 고급화하는 작업도 본격화한다.

BRT 정류장은 빠른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정류장 입구에서 요금을 먼저 내는 시스템을 도입한다. 경전철역과 같은 방식이다. 2017년까지 도램마을, 정부세종청사 북측, 첫마을 등 3개소에 신교통형 BRT 정류장을 설치하고, 2020년까지는 도시내부의 모든 정류장에, 2030년까지는 광역권 전체 BRT 정류장에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

무엇보다도 오는 2020년까지 BRT 전 구간에 대해 자율주행이 가능케 한다는 목표다. 서울대·자동차안전연구원·현대자동차·네이버랩스 등과 협업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BRT 전용차량을 수소·전기와 같은 친환경연료를 사용하는 대용량 차량으로 단계적으로 교체하고, 수소·전기 차량 충전 인프라는 2030년까지 24개소를 설치할 예정이다.

   광역 BRT 고급화 예시도 <행복청 제공>

또한 차량·정류장 디자인을 개선하고, BRT만의 애칭을 부여해 광역도시권의 대표 브랜드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관광 상품화할 계획이다.

행정구역별로 각기 다른 BRT 요금 체계도 하나로 통합된다. 무료 환승체계 도입과 함께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통합정보관리(전산센터) 및 정산 체계도 구축한다.광역BRT 시스템 구축과 효율적 운영을 위한 '광역대중교통 행정․운영시스템'도 구축할 방침이다.

행정구역을 뛰어넘어 생활권 중심의 노선 설치․운영 등 행복도시 맞춤형 광역BRT 제도를 검토하고, 각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BRT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이를 전담하는 행정 및 운영시스템의 필요성을 행복도시 광역교통협의회에서 논의할 계획이다.

   행복청은 오송역과 반석역, 과학벨트 거점지구에는 주요환승시설을 신설하고 시설을 개선할 계획이다. <사진은 과학벨트 거점지구 환승시설 위치도, 행복청 제공>

이충재 행복청장은 "광역대중교통을 기반으로 한 공동생활권 실현은 행복도시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선택"이라며 "행복도시권에서 광역대중교통의 새로운 모델을 구축해 공동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고, 국내 광역 대중교통행정의 발전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행복청과 대전, 세종, 충북, 충남, 청주, 공주 등 7개 기관은 광역교통 개선을 위해 지난 2013년 광역교통협의회를 구성해 현안을 논의해 온 바 있다. 또 지난해 11월 상설 광역교통기구인 광역권BRT개선기획단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매분기 초에는 광역교통협의회를 개최하고 있다.

   지자체별 버스요금체계 현황 <행복청 제공>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