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원 수송아지' 전국이슈로 부상
'1만 원 수송아지' 전국이슈로 부상
  • 금강일보 제공
  • 승인 2012.01.05 06: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육우 1마리=삼겹살 1인분 육우농가 대한 관심 고조

'금강일보 심층보도 '낙농육우인들의 분노' 파장...정부 부랴부랴 대책 발표 

“송아지 한 마리 가격이 진짜 1만 원밖에 안 해요? 정말이예요?”
“집에서 통닭을 시켜 먹어도 1만 5000원은 줘야 하는데….”
금강일보가 심층보도한 육우(우유를 짤 수 없는 젖소 수송아지) 값 폭락 사태가 거센 파장을 낳으며 전국적 이슈로 급부상했다. <본보 2011년 12월 26일자 1면 보도>

지난달 26일 ‘낙농육우인들의 분노’란 제목의 기사가 보도된 후 사실 확인을 하려는 문의전화가 쇄도했고, 지역민들과 누리꾼들은 낙농육우농가들의 암담한 현실에 큰 관심을 드러내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데 한 목소리를 냈다.

급기야 각 시·도 한우협회 소속 축산농가는 한우 수매 등 정부의 소값 안정 대책을 요구하기 위해 5일 청와대 앞에 1000여 마리의 소를 끌고 가 ‘한우 반납 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사료값 급등, 키울수록 손해
젓소 수송아지 값이 삼겹살 1인분 가격과 같은 1만 원까지 추락하면서 한우 송아지 값도 2010년에 비해 절반이나 폭락(280만 원→129만 원)했고, 축산 기반이 붕괴 위기에 직면했다.

육우 송아지 경매는 가격을 정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해졌고, 거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소 값이 폭락하면서 일부 농가에선 3마리를 사면 1마리는 덤으로 주는 상황까지 벌어지는 등 소 사육을 포기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 대폭 오른 사료 값과 인건비, 시설비 등으로 키울수록 오히려 손해만 나기 때문이다.

수컷 젖소 새끼는 낳는 순간 애물단지로 전락, 돈을 얹어 가져가라고 해도 가져가질 않는다는 게 농가들의 우울한 푸념이다.

◆예견된 재앙
이 같은 소값 폭락은 예견된 일이었다. 전문가들은 한우·육우 입식 열풍이 불던 2∼3년 전부터 과잉공급과 수입쇠고기 증가 등으로 가격 폭락이 이어질 것이라 경고했다.

송아지 과열 입식은 양계나 양돈을 하던 농가가 수익성이 낮은 이들 가축 사육을 포기하고, 무턱대고 소 사육에 뛰어든 것에 기인하는데 안전성 문제로 주춤했던 미국산 쇠고기 수요까지 회복되면서 소값이 ‘똥값’이 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여기에 정부가 시장을 왜곡하는 송아지 생산안정자금 지원 등을 폐지 또는 축소해 사육농가의 경쟁력은 한층 떨어졌다.

축산 농민들은 정부가 적극적인 수매에 나서 육우 개체수를 줄여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고, 전문가들은 소값 폭락을 막기 위해 소비자 기호에 맞는 고급육 생산 확대와 가격 인하, 쇠고기 유통의 투명성 확보, 정육점 형태의 대형식당 확산, 사육환경 관리 등을 통한 생산비 절감책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정부 뒤늦은 대응
4일 농림수산식품부가 주최한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보완대책 농어업단체장 간담회에서 이승호 한국낙농육우협회장은 “정부는 위기를 기회로 승화시키겠다고 하나 소 사육 농가들은 갈수록 도태되고 있고, 육우와 송아지 관련 대책은 아직 강구되지 않고 있다”고 울분을 토로했다.

이에 서규용 농식품부 장관은 다양한 지원 대책을 제시했다.

군납용 돼지고기, 수입쇠고기를 한우나 육우로 대체할 방침이고, 경제 5단체와 100대 기업에 한우선물세트 구매를 늘려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2·3등급 송아지를 낳는 한우 암소를 완전히 도태시키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FTA 후속조치로 마련된 한우 암소도태자금 300억 원에 추가 예산을 보태서라도 사육 암소 숫자를 줄이겠다(현재 한우 수는 295만 마리로 적정 수보다 40만 마리 정도 많음)는 것이다.

하지만 부랴부랴 여러 대책을 쏟아내는 농식품부의 뒤늦은 대응이 또다시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는 우를 범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